본문 바로가기 하위메뉴 바로가기
이전으로 돌아가기

 

    사적 / 남한산성
    사적 / 남한산성
    • 지정번호 : 사적 제57호
    • 지정일자 : 1963. 1. 21.

    북한산성과 함께 수도 한양을 지키던 조선시대의 산성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673년(문무왕13) 한산주에 주장성(晝長城) 혹은 일장성(日長城)을 쌓았다고 하며,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일장산성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조선시대의 남한산성이 신라 주장성의 옛 터를 활용하여 축조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남한산성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후금의 위협이 증가하고 이괄의 난을 겪고 난 후인 1624년(인조2)이다. 인조는 대대적인 수축을 위해 관군 이외에 전국 8도에서 승군을 동원하였으며, 승군의 사역과 보호를 위하여 장경사를 비롯한 7곳의 사찰을 새로 건립하기도 하였다. 그 후 순조 때까지 여러 시설을 정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남한산성은 주봉인 청량산(해발 497.9m)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연주봉, 동쪽으로는 망월봉과 벌봉, 남쪽으로도 여러 봉우리를 연결하여 성벽을 쌓았다. 성벽의 주변부 경사가 급한데 비해 안쪽은 낮고 평지를 이루고 있어 방어에 용이하다. 3개의 외성(신남성, 한봉성, 봉암성)과 5개의 옹성을 함께 연결하여 견고한 방어망을 구축하였다. 성벽과 성안에는 많은 시설물과 건물이 있었지만 현재는 동·서·남문루와 장대(將臺)·돈대(墩臺)·보(堡)·누(壘)·암문·우물 등의 방어 시설과 관청, 군사훈련 시설 등이 남아 있다. 현재 경기 광주시와 성남시, 하남시 등 3개 시에 걸쳐 있다.

    만족도 조사

    담당부서 : 교육문화체육국 > 문화예술과 > 종무팀

    문의 : 031-729-3479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결과는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오니, 답변을 원하시는 민원글은 성남시에바란다 또는 민원상담코너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TOP